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29 (IT 이슈) 차세대 사이버보안 기술 동향 1. 차세대 사이버보안 가. CPS 진전에 따른 차세대 사이버 보안의 개념 변화 - 4차 산업혁명으로 5G의 상용화로 인해 초연결, 초신뢰 및 방대한 용량을 처리할 보안기술의 구현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IoT, 드론, 자율주행자동차 등에서의 보안 홀은 생명으로 직결됨 나. 사이버 공격 동향 및 차세대 보안 기술 정책 동향 - 사이버 공격 동향 : 현재 시점은 4세대 보안시기에서 5세대 보안시기로 이행되는 과정 : 초연결 IT 시스템의 취약점에 대한 메가 공격 형태 (mega-attack) : 바이러스 > 네트워크 공격, 방화벽 > App 취약점, IPS > 페이로드/타깃형 공격 > 메가공격 - 주요국의 차세대 보안기술 정책 동향 : 주요국들은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 투.. 2020. 11. 1. (IT이슈) 마이데이터 및 마이데이터 서비스 마이데이터 및 마이데이터 서비스 1.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을 강화하는 패러다임, 마이데이터의 개요 가. 마이데이터의 정의 - 개인이 개인데이터의 활용에 대해 능동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개인데이터 관리 및 활용 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 기간, 대기업 중심의 개인데이터 생태계에서 개인의, 개인에 의한, 개인을 위한 개인데이터로 개념 전환 나. 마이데이터 등장배경 - 세계 데이터 시장 규모가 커짐에 따라 개인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경제의 중요성이 부각 - 개인의 데이터 주권 확보와 데이터 산업 발전을 위해 마이데이터 필요성이 대두 - 기업 및 기관 중심으로 개인데이터가 수집, 처리되어 개인은 개인데이터에 대한 적극적인 권리를 행사하기 어려웠음 2. 마이데이터의 원칙과 마이데이터에서의 개인정보 가. 마이데이터.. 2020. 11. 1. (IT이슈)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Ⅰ.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대전환, 한국판 뉴딜 개요 가. 한국판 뉴딜이 추구하는 미래 - D.N.A(Data,Network,AI) 기반 디지털화 - 사람, 환경, 성장이 조화를 이루는 그린 선도 국가 - 튼튼한 고용 사회 안전망과 사람에 대한 투자로 삶과 일자리를 지켜주는 나라 - 선도형 경제, 저탄소 경제, 포용사회 - 저성장시대에 코로나19가 겹쳐 전례없는 경기침체를 겪고있으며, 한국판 뉴딜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제 선도를 위함 나. 한국판 뉴딜 추진 전략 -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을 강력 추진하되 안전망 강화로 뒷받침 - 재정 투자 및 일자리 창출 견인 - 10대 대표 과제 선정 Ⅱ. 한국판 뉴딜의 추진과제 가. 분야별 주요내용 - 디지털 뉴딜 : 1. D.N.A. 생태계강화 2. 교.. 2020. 11. 1. 선점형 CPU 스케줄링 2020. 11. 1. ISP, ISMP 의 비교 -CDM(Common Data Model)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정보화 전략 계획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 정보시스템 마스터 플랜 2020. 11. 1. 오피니언마이닝(Opinion Mining) 2020. 11. 1.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 -주변개념 1. PCB -OS 가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정보를 주기억장치에 저장한 자료 구조 -PCB 의 주요 역할 프로세스 수행 : 문맥교환, CPU 스케줄링 프로세스 상태 : 레지스터 관리(문맥 저장), 메모리 관리(공유 메모리 블록 관리) 2. 문맥 : 멀티 프로세싱 환경에서 특정 프로세스의 처리를 위해 할당된 자원이 일시적으로 반환되어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재할당 되었을 경우, 기존 수행 중이던 작업 시점부터 재현하기 위한 정보 : CPU 사용량 정보, 우선순위, Task 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 정보, 파일 정보 2020. 11. 1. DeadLock(데드락, 교착상태) DeadLock 1교시 *Deadlock 의 필수 조건 : 상/점/불/환 상호배제, 점유와대기, 선점불가, 환형대기 *주변 개념 : 라이브락 라이브락 :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상대 프로세스의 자원 요구에 서로 양보하며 무한 대기하는 상태 Deadlock 은 프로세스 집합 내의 프로세스들이 요구하는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해서 블록된 상태로 계속 대기하는 반면 Livelock 은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 상태를 계속 바꾸지만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함 2020. 11. 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 LIST